유적지
유적지

본문

mark.png 1 강릉김씨의 상조

back.png

 

ujuk1-1.jpg계림세묘(鷄林世廟)

소재지 : 경주시 왕남동

 

신라4대 석탈해왕(서기65년3월) 어느 날 금성(경주)서쪽에서 들려오는 닭 우는 소리가 수상하여 왕이 호공을 시켜 알아본즉 금 빛나는 궤짝이 나무에 걸려있고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있어 갖어와 열어 본즉 그 안에 남아가 들어 있어 탈해왕이 기뻐하고 금궤에서 나왔다하여 성을 김씨로 하고 총명하다 하여 알지(閼智)로 이름하고 그 숲을 계림(鷄林)이라 하였다

 

 

ujuk1-2.jpg미추왕(未鄒王陵)

소재지: 경주시 황남동 89-2

 

김씨의 초대왕이고 신라13대왕지능이고 지적6만 1144㎥ 높이12.4m 죽엽군(竹葉軍)이야기에서 유래하여 죽장능(竹長陵).죽현능(竹峴陵)으로 부리기도 한다

이능은 경주 왕남동 고분 가운데 잘 정비 보존되고 있는 대능원(大陵苑)내에 있으며 단순한 둥근 봉분이다

미추왕은 대보공 알지의 7세손으로 11대 조비왕의 딸에 장가드니 왕이 아들이 없이 승하하여 그 뒤를이어 12대를 조비왕의 동생 점해왕이 승계하여 오다 후사없어 미추왕이 13대왕으로 서기 262년에 즉위하여 22년간 재위하고 14대 석유예왕,15대 기임왕,16대 흘해왕으로 석씨에 왕권이 3대가 이어 젔다

 

 

ujuk1-3.jpg내물왕능(奈勿王陵)

사적 제 188호

 

신라17대왕능이고 계림(鷄林)정문에서 약 200m떠러진곳 봉분 아래 둘래에 드문 드문 돌아가며 보호석을 둘러 봉분의 유실을 막고 있고 다른 석물(石物)은 없고 사적비가 남아 있다.

내물왕은 신라16대 석흘해왕이 아들없이 승하하니 나라 사람들이 왕으로 추대하여 신라17대왕으로 서기 356년에  즉위하여 46년간 신라를 통치하였다 내물왕은 외교를 잘하여 고구려,백제와 친교를 맺고 자주 침범하는 왜적을 뛰어난 전략으로 물리치고 신라를 중흥시키고 중앙집권 체제를 이룩한 왕이며 이후부터 김씨가 계속 신라를 통치하였다 내물왕 뒤는 4촌인 실성왕이 뒤를이었고 그 뒤에는 내물왕의 장자 눌지왕 자비왕 소지왕으로 이어지다 차자 복호의 손자가 22대 지증왕으로 이었다

 

 

ujuk1-4.jpg태종무열왕의 영정

삼국통일의 영웅 태종무열왕(신라29대왕)

 

태종무열왕의 휘는 춘추(春秋)요 신라 25대 진지왕의 장자 용춘(龍春)의 장자로 28대 진덕여왕입종(立宗)의 셋째아들 국반(國飯) 의 딸)의 뒤를 이어 서기 654년 52세에 29대왕으로 즉위하여 고구려.백제 삼국으로 정립된 민족의 통일을 이루기 위하여 고구려를 방문 호혜평등의 군사 동맹을 맺고 국제적 위상을 확보하고 재위7년 서기 660년에 백제를 평정하여 신라를 중심으로한 통일의 1단계는 성공하고 고구려를 평정못하고 서기 661년에 승하하니 장자 문무왕(法敏)이 선왕의 대업을 이어 명장 김유신장군과 고구려를 서기 668년에 평정하여 완전 삼국통일을 이룬 성군이고 강릉김씨 시조 명주군왕의 5대조이고 유일한 혈통은 강릉김씨 뿐이다.